고대 그리스의 철학적 사상은 수세기 동안 서양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다음은 최근 영화에서 묘사된 이러한 아이디어 속에서 철학과 영화의 시대를 관통하여 만나는 모습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매트릭스"(1999) : 플라톤의 동굴이론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네오는 자신의 현실 전체가 인류를 노예로 만든 기계가 만든 컴퓨터 생성 시뮬레이션이라는 사실을 발견합니다. 한 장면에서Morpheus는 Plato가 그의 작품 "The Republic"에서 제시한 유명한 사고 실험인 동굴의 비유를 사용하여 Neo에게 매트릭스의 본질을 설명합니다. 이 우화는 사람들이 마치 동굴에 갇힌 죄수와 같아서 그들 앞에 있는 벽에 투영된 외부 세계의 그림자만을 본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그들은 외부 세계의 진정한 본질을 알지 못한 채 이 그림자를 현실로 착각합니다. 영화에서 매트릭스는 동굴이고 그림자는 기계가 인류를 통제하기 위해 만든 거짓 현실이다. 아래의 모피어스의 대사에서 플라톤의 동굴이론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모피어스: "매트릭스는 어디에나 있습니다. 매트릭스는 우리 주변에 있습니다. 지금도 바로 이 방에 있습니다. 창밖을 내다보거나 텔레비전을 켜면 매트릭스를 볼 수 있습니다. 당신은 세금을 낼 때 교회에 갑니다. 진실에서 당신을 눈멀게 하기 위해 당신의 눈을 가리고 있는 것은 세상입니다."
"트루먼 쇼" (1998)
'트루먼 쇼'역시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 철학을 바탕으로 현실의 본질과 개인의 자유 추구를 탐구하는 풍자극입니다. 이 영화는 자신의 삶 전체가 각본이 있는 텔레비전 쇼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그의 현실의 본질에 의문을 갖기 시작하는 트루먼 버뱅크를 따릅니다. 영화 투르먼쇼는 자유 의지, 정체성, 진실 탐구라는 주제를 탐구합니다. 트루먼은 아래와 같이 가짜세계에 사는 자기를 말합니다.
트루먼: "내가 너를 위해 만든 세상에 진실이 있는 것보다 더 이상 진실은 없다. 똑같은 거짓말, 똑같은 속임수. 하지만 내 세상에서는 두려워할 것이 없다."
"굿 윌 헌팅"(1997) : 소크라테스 질문 방식
"굿 윌 헌팅"에서 윌 헌팅이라는 관리인은 수학에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지만 과거에 어려움을 겪었고 도움을 구하는 것을 꺼려합니다. 그의 치료사 Sean Maguire는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개발한 교수법인 소크라테스식 방법을 사용하여 윌이 감정적 문제에 대처하도록 돕습니다. 이 방법에는 비판적 사고와 자기 성찰을 장려하기 위해 탐색 질문을 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Sean은 이 기술을 사용하여 Will이 자신의 과거를 직시하고 감정적 장벽을 극복하도록 합니다. 윌을 설득하는 션 선생님의 말은 윌을 조금씩 치유합니다.
Sean Maguire: "그래서 내가 예술에 대해 묻는다면 아마도 지금까지 쓰인 모든 예술 책에 대해 빈약하게 말할 것입니다. 미켈란젤로, 당신은 그에 대해 많이 알고 있습니다. 인생의 작품, 정치적 포부, 그와 교황, 성적 취향, 모든 작품이 맞죠? 하지만 시스티나 예배당에서 나는 냄새가 어떤지 저에게 말씀하실 수 없을 거예요. 당신은 실제로 거기 서서 그 아름다운 천장을 올려다본 적이 한 번도 없어요."
"글래디에이터"(2000) : 금욕주의
글래디에이터는 로마의 장군 막시무스가 황제에게 배신당해 검투사가 될 수밖에 없는 이야기를 그립니다. 영화 전반에 걸쳐 막시무스는 자기 통제와 운명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스토아 철학을 구현합니다. 그는 역경 앞에서 침착하고 침착하며 불평 없이 검투사로서의 운명을 받아들입니다. 한 장면에서 그는 동료 검투사들에게 자신의 스토아 철학을 설명합니다.
막시무스: "인생에서 우리가 하는 일은 영원에 반영됩니다."
사랑의 블랙홀(1993) :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사랑의 블랙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행복(eudaimonia) 또는 인간 번영의 개념을 바탕으로 시간의 본질, 개인의 성장, 행복 추구를 탐구하는 코미디 드라마입니다. 타임 루프에 갇힌 주인공 'Phil"의 우여곡절 스토리를 그리며 반복되는 매일을 통해 진정한 인생의 행복과 가치를 찾아가는 내용을 다룹니다. 같은 날을 계속해서 되풀이하던 주인공은 냉소적이고 이기적인 성격의 기상캐스터였지만, 반복되는 경험을 통해 삶의 작은 순간에 감사하는 법을 배우고 다른 사람에게 봉사하는 데서 행복을 찾습니다.
Phil: "내일이 없다면? 오늘은 없었어."
결론적으로 영화와 뮤지컬 드라마는 수세기 동안 그리스 철학의 영향을 받아 정체성, 책임, 사랑, 현실의 본질이라는 주제를 탐구했습니다. 이 작품들은 현대 문화에 대한 고대 그리스 사상의 지속적인 관련성과 새롭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 청중에게 영감을 주고 참여시키는 그들의 힘을 보여줍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적 사상이 어떻게 현대 미디어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보여주며 인간 존재에 대한 가장 깊은 질문을 탐구하는 이야기에 영감을 주는 것이 놀랍습니다. 그들은 철학적 아이디어로 청중을 참여시키고 삶의 의미에 대한 반성을 불러일으키는 스토리텔링의 힘을 보여줍니다. 어쩌면 현재의 많은 콘텐츠들에서 고대의 철학자들의 향기를 느끼는 것 같아 신비감에 젖기도 합니다.
'더 나은 생각과 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의 블랙홀' &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주인공의 변화 중심 (1) | 2023.05.05 |
---|---|
"메트릭스" 에 나타난 "플라톤의 동굴이론" (1999) (0) | 2023.05.03 |
고대 그리스 철학 VS 고대 동양 철학 (0) | 2023.05.01 |
고대 서양과 동양의 철학자들 사상과 삶 (0) | 2023.05.01 |
형이상학 주요 철학자(고대 그리스 철학자가 근/현대에 미친영향) (0) | 2023.04.30 |